태블로는 지리적 역할 데이터로 시도 및 시군구 데이터만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읍면동 시각화를 위해 경계 데이터 또한 필요합니다.
1. 행정동 경계 데이터 다운로드 받기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읍면동 데이터입니다.
다운로드를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http://data.nsdi.go.kr/dataset/20171206ds00001
압축 파일을 받아 압축 해제를 하면
4개의 파일이 보입니다.
태블로에서 공간 파일을 눌러 한 번 불러와봅시다
데이터를 불러오면 읍면동에 대한 한글 텍스트가 깨져 나옵니다.
이는 문자 인코딩 문제로 아래의 글을 통해 인코딩을 변환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인코딩된 데이터를 불러오면 한글이 제대로 출력됩니다.
2. 읍면동 인구 데이터 다운로드 받기
KOSIS에서 인구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05N&conn_path=I2
항목: 총인구수
행정구역: 3레벨
5세별:계
시점:2021
만 다운로드 받아 보겠습니다
더불어 상위 레벨 표시는 무조건 체크
행렬전환에서 항목을 제외한 모든 값을 표측(행방향)으로 이동
이제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엑셀 파일을 받으면 됩니다.
3. 한국행정구역분류 다운로드 받기
갑자기 이게 므슨 말인가 싶을 겁니다.
경계 파일을 시각화 하기 위해서는
경계 파일과 인구 데이터를 매칭시키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읍면동 이름만으로 매칭을 시킬 수 없습니다.
이유는 중복되는 읍면동 이름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전국에 중앙동이 매우 많아 전부 합한 35만 인구가 잡힙니다.
따라서 경계파일에서 제공하는 행정구역분류(ADM_DR_CD)를 사용하여 매칭합니다
아래의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4. 데이터 매칭하기
인구 데이터 - - - - - - - - - - - - - - - - -> 한국행정구역분류 - - - - - - - - - - - - - - - - -> 행정동 경계
<시군,시군구,읍면동> <행정구역분류코드>
먼저 읍면동 인구 데이터를 불러온다.
행정구역(동읍면)별 열을 우클릭 하여
"사용자 지정 분할"을 사용하여 시도,시군구,동읍면으로 구분해야 하나
이상하게 맨 앞의 공백이 안사라져 "계산된 필드 만들기"로 직접 생성합니다
시도 열 만들기
시군구 열 만들기
동읍면 열 만들기
시도 열과 시군구 열은 지리적 역할을 지정해도 됩니다.
다음으로 데이터를 더블클릭해 내부로 들어온 다음
한국행정구역분류 파일을 불러오고 1.총괄표(현행)을 옆으로 드래그해 놓으면 조인 창이 뜬다.
위에서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원본에는 시도, 시군구, 동읍면에 대한 조인 계산을 넣고, 오른쪽은 그에 맞게 F2, F4, F6를 지정
TRIM(SPLIT(REPLACE([행정구역(동읍면)별]," ",""),">",1))
TRIM(SPLIT(REPLACE([행정구역(동읍면)별]," ",""),">",2))
TRIM(SPLIT(REPLACE([행정구역(동읍면)별]," ",""),">",3))
이렇게 되면 인구 데이터 와 행정구역분류 데이터가 시도,시군구,동읍면을 통해 묶인다.
보기 편하게 필요없는 열은 숨기기로 안보이게 감추고, F5 열은 행정구역분류코드로 이름을 바꾼다.
5. 경계 데이터 불러와서 시각화하기
상단의 데이터 탭에서 새 데이터 원본을 눌러 공간 파일인 경계 파일을 불러온다
필요없는 열은 숨기고, ADM_DR_CD는 행정구역분류코드로 이름을 바꾼다.
워크시트에서 기하도형과 시도,시군구,동읍면, 인구 값을 넣어 시각화한다.
중요한 건 경계 데이터가 옛날 것이라는 것.. 21년 6월 30일..